본 연구소 학술지의 논문 투고 자격은 본 연구소 소원과 타 대학교에 소속된 모든 인문학자에게 개방되어 있다. 단, 인문학과 관련된 석사학위 이상의 소지자를 원칙으로 한다.
본 연구소 학술지의 논문은 인문학과 관련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학회학술지의 목적과 부합되지 않는 논문은 편집위원회 의견결정에 따라 반려될 수 있다.
한글로 작성한 파일을 연구소 온라인 투고 시스템으로 발송한다.
상반기 - 1월 31일까지
중반기 - 4월 30일까지 7월 30일까지
하반기 - 10월 31일까지
상반기 - 3월 31일
중반기 - 6월 30일 9월 30일
하반기 - 12월 31일
3. 저작권 활용 동의
논문의 저작권은 논문저자에게 있으나, 학술지에 게재하는 논문의 경우 저작권자가 동의를 통하여 인문연구에 귀속된다.
한글로 작성한다. 분량은 200자 원고지 100매 내외로 하되, 150매를 초과할 수 없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논문 제목, 부제목, 필자명(학교명), 목차, 국문초록(국문 주제어),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영문 주제어), 필자인적사항(소속, 주소, 전화번호, e-mail)의 순으로 작성한다. 단, 2인 이상의 공동 저작일 경우 별도의 표시가 없을 경우에는 순차에 따라 제1저자, 제2저자 등으로 구분한다. 이 경우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교신저자의 성명, 주소, 이메일 주소를 밝혀야 한다.
글자크기 10.5, 들여쓰기 여백 2칸(1字), 줄 간격 160%, 양쪽혼합 정렬
표 1) 본문의 크기
폭 | 쪽당 줄 수 | 줄 간격 |
---|---|---|
11cm(4.33 inch) | 62 columns | 150% |
16.2cm (6.38 inch) | 34 lines |
대항목 번호: 1, 2, 3, ... (글자크기 12, 신명중고딕)
중항목 번호: 1), 2), 3), ... (글자크기 11, 신명신명조)
소항목 번호: (1), (2), (3), ... (글자크기 10.5 신명중고딕)
본문 중 인용부호: “…”
재인용 또는 강조: ‘…’
단행본·문헌·신문·잡지의 제목: 『 』
논문·기사·작품의 제목: 「 」
인용시 필자의 중략: …
각 쪽 밑에 다음과 같은 모양으로 함(글자크기 9, 내어 쓰기 10 pt, 줄 간격 130%)
논저의 표기 순서는 참고문헌 규정에 따른다
인용한 논저가 중복될 경우
바로 앞에 나온 논저는 ‘上揭書’, ‘上揭論文’ 또는 ‘같은 책’, ‘같은 논문’으로 표기한다.
바로 앞에 나온 논저가 아니면 ‘前揭書’, ‘前揭論文’ 또는 ‘앞의 책’, ‘앞의 논문’으로 표기한다.
논문일 경우는 ‘Ibid’ 또는 ‘op. cit’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본문 뒤에 2줄을 떼고 이어 씀(글자크기 12, 가운데 정렬, 신명 중고딕)
내용: 글자모양(한글: 신명신명조, 영문: HCI Tulip), 크기 10pt, 장평 95%, 자간 -7%, 줄간격 150%
두 번째 줄부터 (내어 쓰기 40pt, 양쪽 혼합)
문헌은 1. 기본자료
2. 논문
3. 단행본
으로 나누어 배열하고, 1·2·3은 모두 국문, 한문, 영문 순으로 배열하며, 각 언어의 자모순으로 배열한다.
동양어로 된 논저인 경우
필자명, 논문제목, 발행학회, 『게재지명』 권수 호수, 출판연도, 페이지 순으로 표기한다.
논문은 「」, 게재지는 『』안에 표기한다.
게재지의 ‘권’·‘호’·‘집’ 등은 숫자의 표기만을 원칙으로 한다. 예) ‘5권 3호’인 경우 ‘5-3’으로 표기한다.
페이지의 표기는 ‘pp.’를 붙여 표기한다. 학술지나 단행본에 실려 있는 논문의 경우, 해당 논문의 시작페이지와 끝페이지를 ‘pp. 18-45.’와 같이 표기한다.
예) 정수동, 「현대 국어‘가다’ 동사의 다의성」,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제10집, 1998, pp. 55-75.
박성진, 「일제하 인종주의의 특성과 적용 형태」,한국근대사연구학회,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집, 1996, pp. 65-70.
서양어로 된 논저인 경우